한빛출판네트워크

실용서

의사가 권하고 건축가가 짓다

자연을 닮은 공간, 살아있는 건축

한빛라이프

집필서

절판

의사가 권하고 건축가가 짓다
좋아요: 23
  • 저자 : 이시형 , 김준성
  • 출간일 : 2015-06-08
  • 페이지 : 216쪽
  • ISBN : 9791185933139
  • 물류코드 :5113

합계 : 13,320

  • 의학과 건축의 만남, 출판 기획의 크로스오버
    [의사가 권하고 건축가가 짓다]는 신경정신과 의사 이시형 박사가 ‘인간이 건강하게 살기 위해 필요한 공간이란 무엇인가’ 란 화두로 오랜 시간 고민하고 연구해 강원도 홍천에 힐리언스 선마을을 설립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힐리언스는 리조트도 아니고 요양원도 아닌 치유센터다. 1차로 설립된 힐리언스는 건축가 승효상의 작품이며, 문을 연지 5년 후 건축가 김준성이 2차 설계를 맡았다. 
    이 책의 기획은 “공간이 습관을 바꾼다’는 테마에서 시작했다. 인간의 자율의지는 그다지 강인하지 못하다. 그렇게 때문에 강제성이 필요하다. 여기서 ‘의도된 불편함’이라는 개념이 등장한다. 
    사람들이 ‘편리’를 추구할 때 이시형은 스스로 걷고 운동하지 않는 사람이 걸을 수 밖에 없는 공간을 떠올렸다. 스마트폰에 중독된 사람들이 더 이상 손가락을 조물거리지 않도록 전파가 닿지 않는 환경을 만들었다. 그렇게 지은 공간이 힐리언스 선마을이다. 
    서로 전문성을 쌓았지만 공동 주제 없이 의사와 건축가가 교감을 나누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경우 힐리언스라는 공간이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 책은 건강한 공간의 중요성을 인식한 일반인들이 각자의 공간에서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의사 이시형은 자연의 시간에 맞춰 살라 한다 
    이시형이 말하는 인간에게 필요한 공간은 자연의 시간에 맞춰 살 수 있는 공간이다.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잠을 자야 한다. 사람은 밝은 공간에서는 교감신경이 흥분해 긴장하고, 어두우면 부교감 신경이 작용해 잠이 잘 온다. 사람은 어스름 공간에 있을 때 마음이 가장 편하다.”고 이야기 한다. 

     

    건축가 김준성은 자연을 닮은 공간을 만든다 
    자연은 닮은 공간이 가장 인간적인 공간이라는 이시형의 말에 김준성은 ‘관계 속에서의 건축, 무엇과 관계할 것인가’ 하고 답한다. 후각이 쾌적해야 공간이 안락하다고 이시형이 제안하면 향은 건축의 또 다른 테마라고 김준성은 말한다. 이시형이 ‘햇빛 속에 건강 있다’고 말하면 김준성은 ‘건축 안에 빛을 끌어들이는 방법은 다양하다’며 우리가 사는 데 어떤 공간이 필요하고, 어떻게 그 공간의 구현이 가능한지를 우주의 원리에 빗대어 설명하고 있다. 

  • [저자] 이시형

    신경정신과 의사 이시형
    경북대 의대를 졸업하고 미국 예일대에서 정신과 신경정신과학박사후과정(P.D.F)을 밟았으며, 이스턴주립병원 청소년과장, 경북의대ㆍ서울의대(외래)ㆍ성균관의대 교수, 강북삼성병원 원장,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소장 등을 역임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신과 의사이자 뇌과학자인 그는 건강, 자기계발, 자녀교육, 공부법 등 다양한 주제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폭넓은 공감을 사고 있다. 수십 년간 연구, 저술, 강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열정적인 활동을 펼쳐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세로토닌하라!』『배짱으로 삽시다』『우뇌가 희망이다』『이시형처럼 살아라』『여든 소년 山이 되다』『둔하게 삽시다』 등을 집필했다. 
    자연치유센터 힐리언스 선마을의 촌장으로 활동하며 건강한 생활습관과 생활환경 전파에 앞장서고 있다.

    [저자] 김준성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건축학과에 입학했지만 1976년 가족이 브라질로 이민한 후 브라질 상파울로 메킨지대학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이후 미국 뉴욕 프랫인스티튜트 건축대학에서 건축학 학사를,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학 건축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를 마쳤다. 1988년 세계적인 건축가 알바로 시자(Alvaro Siza) 건축사무소, 1990년 미국 뉴욕 스티븐 홀(Steven Hall) 건축사무소에서 실무를 익혔다. 

    1991년 귀국해 김준성 건축사무소를 열었고 현재 (주)건축사무소 핸드를 운영하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프로젝트에 코디네이터로 참여했으며 주요 작품으로 한길 북 하우스, 2006년 ‘영국 웰페이퍼디자인어워드’를 수상한 알바로 시자홀, 2007년 ‘김수근 문화상’을 받은 한길 갤러리, 2010년 ‘한국건축가협회상’을 받은 미메시스 아트하우스, 미메시스 뮤지엄(알바로 사자와 공동작업), 휴머니스트 사옥 등 출판사와 갤러리 작업이 많다. 
    그는 30년간 전 세계 건축인과 조우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자기 카피조차 하지 않는 새로운 건축을 구현함으로써 한국 건축계를 바람처럼 이끌고 있다.

  • 프롤로그
    자연의 힐링 파워를 믿다 ― 004
    건축과 주변의 울림은 어떻게 가능한가 ― 006


    PART 1 인간은 자연 속에 있을 때 가장 편안하다
    자연 
    01 자연을 닮은 공간이란? ― 017 
    02 관계 속에서의 건축, 무엇과 관계할 것인가 ― 019 
    03 자연과 관계하는 건축의 태도 ― 022 
    04 자연에 순응하는 마을의 틀 잡기 ― 027 
    05 자연을 닮은 공간에서의 편안함, 시간이 만든다 ― 035 
    06 일상의 공간에 자연 담기 ― 038 
    07 공간은 내 마음이다 ― 043 
    08 공간은 관계 속에서 크기가 인지된다 ― 046 
    09 집중도 잘되고 잠도 잘 오는 공간의 조건 ― 050 
    10 낯익은 공간에 관한 기억, 공간이 사고를 만든다 ― 054

     

    PART 2 뇌를 편하게 만드는 오감 건축
    오감 
    01 현대인의 뇌는 피로하다 ― 058 
    02 길들인 감각, 나의 인지능력에 대한 질문 ― 062 
    03 소음에 익숙해져도 피로는 남는다 ― 065 
    04 물길을 틔우고 소리에 귀 기울이다 ― 068 
    05 때론 칠흑 같은 어둠이 그립다 ― 070 
    06 어둠에 대한 또 다른 생각 ― 073 
    07 후각이 쾌적해야 공간이 안락하다 ― 077 
    08 향, 건축의 또 다른 테마 ― 080 
    09 과함은 부족함만 못하다 ― 083 
    10 액티브냐 패시브냐, 친환경 건축의 두 얼굴 ― 085 
    11 불현듯 되살아나는 감각의 경험 ― 088

     

    PART 3 대지의 신, 흙에 발을 담그다
    대지 
    01 대지의 기운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 건강하다 ― 093 
    02 건축, 대지와 소통하고 교감하다 ― 096 
    03 흙, 다시 최고의 건축 자재가 될 수 있을까? ― 104 
    04 건축 재료로서의 흙, 활용하기 나름이다 ― 107 
    05 살아있는 흙은 향기롭다 ― 111 
    06 흙내음 살리는 건축을 꿈꾸다 ― 113 
    07 텃밭이나 실내 정원을 가꾸는 자체가 힐링이다 ― 116 
    08 정원, 선택이 아닌 필수 시대 ― 119 
    09 매크로바이오틱에서 배우는 흙 에너지 ― 125 
    10 흙 에너지를 집에 담는 가장 좋은 방법 ― 128

     

    PART 4 처마에 이는 바람이 내 집에 들어오면
    바람 
    01 바람이 통하지 않는 공간은 죽은 공간이다 ― 133 
    02 바람을 불러들이는 방법은 다양하다 ― 135 
    03 문을 열지 않아도 바람이 통한다? ― 139 
    04 바람을 원하면 때론 양보해야 할 것이 있다 ― 142 
    05 사람을 살리는 바람은 따로 있다 ― 147 
    06 온돌과 바닥 난방, 건강한 바람을 부른다 ― 150 
    07 자연 환풍은 인공 환풍보다 힘이 세다 ― 154 
    08 기계식 환풍은 어디까지나 차선책이다 ― 156

     

    PART 5 해와 달의 에너지를 건축에 담다 
    우주 
    01 햇빛 속에 건강 있다 ― 163 
    02 건축 안에 빛을 끌어들이는 방법은 다양하다 ― 166 
    03 태양을 즐기려면 방향이 중요하다 ― 172 
    04 향과 뷰 사이에서 창의 고민이 깊어지다 ― 175 
    05 태양은 에너지다 ― 181
    06 건축에서의 태양 에너지, 선택이 아닌 필수 ― 183 
    07 천창으로 태양에 더 가까이 다가서다 ― 187 
    08 천창은 건물 용도에 따라 모양을 달리한다 ― 189 
    09 햇빛의 두 얼굴, 어떻게 대해야 할까? ― 197 
    10 유리가 햇빛을 조절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 ― 199 
    11 달빛으로 힐링하다 ― 204 
    12 건축, 달을 품다 ― 206

     

    에필로그
    건축과 의학의 만남 ― 212
    좋은 건축은 경청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 214

  •  

  • 내용이 없습니다.
    • 살고 싶은 집 짓고 싶은 집

      강영란

    • 스웨덴 사람들은 왜 피곤하지 않을까

      박민선

    • 잘 먹고 더 움직이고 잘 자라

      톰 래스

닫기

해당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
장바구니로 이동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