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과 실전으로 배우는게임 시나리오
이진희 지음
한빛 미디어에서 책을기증받아 블로깅합니다.
블로깅 이벤트에 당첨되어책 받아 작성합니다.
임시나리오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실무 관점에서 정리 된 책이다.
시중에 자주 없는 실무 책이다.
게임을 좋아하고 시나리오 작가를 꿈꾼다면 반드시 읽어야할 실무 책으로 추천한다.
잘 몰라도 이책만 읽어보면 이렇게 시나리오가 작성되는 구나? 라고 느낄수 있다.
스토리가 기술영역이라고 이야기 한다.
1장. 이론
스토리란 작가기 어떤영감을 얻어서 한 번에 써 내려가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스토리 작법에대한 많은 책은 공통적으로 스토리의 문법을 이야기 했다.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법칙 같은 것이 존재했고, 누구나 이 문법만안다면 일정 수준이상의 스토리를 만들수 있다는 전체를 가지고 있었다.
문법에 맞게 만들어진 스토리는 100점은 아닐수 있지만 적어도 90점의 평가받을수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스토리를 만드는것이 기술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다.
// 일정한 문법이 있다나.. 깜놀..
전문 작가가 되어야 쓰는줄 알았더나 문법을 공부하고 쓰면 된다는게 신기~
아~ 이제 하나 알았습니다 ^^
스토리 기반 콘텐츠의스토리텔링
1)영화와 드라마의 스토리텔링
2)소설과 연극의 스토리텔링
3) 게임의 스토리텔링
2장. 게임에서 요구 되는 스토리텔링
게임에서 훅
혹: 간결하게 정리된 콘셉트, 그 자체로 사람의 마음을 끌 수 있어야함.
영화<라이어 라이어>의 혹이다.
주인공은 소송에 이기기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악질 변호사다.
거짓말도 능수 능란해서자신의 가족에게도 항상 변명을 일삼는다.
아들의 생일에 참석하겠다는약속을 지키지 못하게 되자, 실망한 아들은 생일 선물로 아빠가 거짓말을
하지 않도록 해달라고빈다.
아들의 소원은 이루어지고 주인곳은 거짓말 하려 해도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진실말을 말하게 된다.
스토리에 확실한 훅이없다면 게이머에게 스토리를 각인 시키기 어렵다.
// 혹~ 이런걸 생각해야 하는군요.
게임 시나리오에 대한 용어를 알수 있었다.
2. 캐릭터
모든 스토리가 캐랙터의감정이입을 통해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스토리 전개의 가장 기본적이면서중요한 원리이다.
캐릭터가 곧 스토리이며 스토리가 곧 캐릭터이다.
스토리가 달라지면 캐릭터가 달려져야 하며 캐릭터가 달라지면 스토리도 달라져야 한다.
// 스토리와 캐릭터의 관계를 정확히 알려주시네요~
몰랐어요. 스토리가 달라지면 캐릭터도 달라져야 한다는.. 오노하우~
스토리텔링과 게임 시스템
게임의 스토리텔링은 텍스트나영상이 아닌 게임 시스템에 이해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게임의 문법을 이해해야한다는 의미다.
영화의 문법을 모른다면영화시나리오 작가라 할수 없다.
게임도 마찬가지이다.
게임시나리오 작가라면 당연히 게임 시스템을 충분히 이해해야 한다.
게임 시나리오 작가가 아닌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가 되어야 한다.
// 게임 시스템을 충분히 알아야 하는군요~~
게임을 좋아하고 게임 시스템을 공부해야 겠어요!!
게임시나리오작가에게 늘일거리를 만들어 주기란 쉽지 않다.
게임시나리오 작업 외의업무까지 병행하기를 원한다.
순수하게 텍스트 작업만가능한 게임 시나리오 작가가 설자리는 거의 없다.
게임 시스템에 대한 이해여부.
게이머가 대사나 설명등의 텍스트로 스토리를 이해하는 것과 게임 플레이어로 스토리를 이해하는 것중 어느쪽을 더 선호할까?
당연히 후자이다.
게이머는 텍스트를 읽기위해 게임을 하지 않는다.
게임시스템 이란 ?
입력장치(의도) - 하드웨어(시스템) - 출력장치(반응)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