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안은 사람이 많이 이용할수록 더 신경을 써야 합니다.
과거에는 보안에 더 취약했었는데요.
사람들은 보안의 필요성을 느끼고 보안의 중요성도 높아졌습니다.
미국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페이스북(현 메타)은 개인 정보 유출로 5조 9000억 원의 벌금을 부과됐습니다.
보안 문제의 벌금이 무시 못 할 금액이라면 보안을 더 신경 쓰는 것이 의미 없는 지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보안과 신뢰성에 대한 책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소개해 드릴 책은 ‘SRE를 위한 시스템 설계와 구축’인데요.
SRE는 사이트 신뢰성 엔지니어링의 약어로 보안과 신뢰성에 초점을 맞춘 책입니다.
이 책이 있다면 보안 사고가 날 수 있는 부분을 미리 고려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어떻게 사이트의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도와주는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 시스템 관리
시스템 관리 차원에서 디버깅과 조사가 이뤄져야 합니다.
보안 조사는 경험이 풍부한 보안 전문가가 꼭 필요합니다.
어떠한 형태로 공격이 들어오고 취약점이 있는지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안전을 고려하며 설계를 해야 합니다.
공격을 판단하기 위해선 로그가 있어야 하는데요.
설계상에 로그가 준비되어 있고 로그를 인덱싱해 조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시스템화 되어 있는 경우 로그를 통해 공격을 파악하고 방어를 할 수 있습니다.

◆ 보안과 신뢰성
보안과 신뢰성은 제품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고객은 보안과 신뢰성보다는 우선 좋아하는 기능 때문에 사용하는데요.
제품이 안전할 것이라 생각하며 이용하는 것입니다.
안 좋다는 소식을 들으면 사용하지 않으려 할 것입니다.
보안사고의 경우 사고가 발생한 후에 고치려면 상당한 비용이 듭니다.
그러므로 초반에 보안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필연적으로 다뤄야 합니다.
또한 보안 지식에 대해 지속 가능한 훈련을 통해 보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보안과 신뢰성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데요.
보안과 신뢰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지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할지도 고려해야 합니다.
회사의 규모가 다르더라도 도입 가능한 부분을 찾고 상황에 맞게 천천히 도입해보시길 바랍니다.
보안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보안에 신경 쓰고 개발하는 데는 시간이 걸립니다.
우선 작동하도록 먼저 개발하려 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출시에만 초점을 두면 사고 후에나 보안과 신뢰성을 생각하는 부분은 안타깝습니다.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술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